<링크>
https://school.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64065
프로그래머스
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.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.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,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.
programmers.co.kr
<문제>
- 셀수있는 수량의 순서있는 열거 또는 어떤 순서를 따르는 요소들의 모음을 튜플(tuple)이라고 합니다. n개의 요소를 가진 튜플을 n-튜플(n-tuple)이라고 하며,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.
- (a1, a2, a3, ..., an)
- 튜플은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.
- 중복된 원소가 있을 수 있습니다. ex : (2, 3, 1, 2)
- 원소에 정해진 순서가 있으며, 원소의 순서가 다르면 서로 다른 튜플입니다. ex : (1, 2, 3) ≠ (1, 3, 2)
- 튜플의 원소 개수는 유한합니다.
- 원소의 개수가 n개이고, 중복되는 원소가 없는 튜플 (a1, a2, a3, ..., an)이 주어질 때(단, a1, a2, ..., an은 자연수), 이는 다음과 같이 집합 기호 '{', '}'를 이용해 표현할 수 있습니다.
- {{a1}, {a1, a2}, {a1, a2, a3}, {a1, a2, a3, a4}, ... {a1, a2, a3, a4, ..., an}}
- 예를 들어 튜플이 (2, 1, 3, 4)인 경우 이는
- {{2}, {2, 1}, {2, 1, 3}, {2, 1, 3, 4}}
- 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. 이때, 집합은 원소의 순서가 바뀌어도 상관없으므로
- {{2}, {2, 1}, {2, 1, 3}, {2, 1, 3, 4}}
- {{2, 1, 3, 4}, {2}, {2, 1, 3}, {2, 1}}
- {{1, 2, 3}, {2, 1}, {1, 2, 4, 3}, {2}}
- 는 모두 같은 튜플 (2, 1, 3, 4)를 나타냅니다.
- 특정 튜플을 표현하는 집합이 담긴 문자열 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s가 표현하는 튜플을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<제한사항>
- s의 길이는 5 이상 1,000,000 이하입니다.
- s는 숫자와 '{', '}', ',' 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.
- 숫자가 0으로 시작하는 경우는 없습니다.
- s는 항상 중복되는 원소가 없는 튜플을 올바르게 표현하고 있습니다.
- s가 표현하는 튜플의 원소는 1 이상 100,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.
- return 하는 배열의 길이가 1 이상 500 이하인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집니다.
<입력 및 출력>

<아이디어>
1. 처음 데이터 들어오는게 평소에 내가 보던거랑 다르니까.. 내가 알던 형식으로 넣어주면 편하겠다...!
2. 중복된 원소는 추가적으로 들어올 필요가 없겠네? -> 그럼 Set을 써야지..!
3. Set을 담아놓은걸... 이제 다시 리스트별로 쭉 담아놓으면 나중에 정리하기 편하겠다.
4. 리스트로 담아놨으니까... 나중에 배열로 다시 바꿔야겠네.. 이게 멀까..? ( -> stream().ampToInt(i ->i).toArray();
<풀이 - Java >
import java.util.*;
class Solution {
public int[] solution(String s) {
// 두번째친구부터 마지막 -2 친구 까지를 가져오고...
// },{ 친구를 " " 로 바꾸면 구별하기 쉽겠당..ㅎ
s = s.substring(2, s.length() - 2).replace("},{", " ");
String[] sets = s.split(" ");
// 각 집합을 담을 리스트를 선언하고..
List<Set<Integer>> list = new ArrayList<>();
for (String set : sets) {
// 중복되는 숫자가 없게 하려면... HashSet으로 선언하구
Set<Integer> numSet = new HashSet<>();
for (String num : set.split(",")) {
// 너어주세연..!
numSet.add(Integer.parseInt(num));
}
// 이제 다 돌았으면 리스트 내부에 하나씩 하나씩 넣어보아요.
list.add(numSet);
}
// 집합을 크기 순으로 정렬을 해용
// :: 요게 Set의 크기만큼으로 정렬하는거라고 하더라구요? 구글링 최고
list.sort(Comparator.comparingInt(Set::size));
// 결과를 저장할 리스트
List<Integer> result = new ArrayList<>();
Set<Integer> seen = new HashSet<>();
// 작은 집합부터 숫자 확인을 해봅시다잉
for (Set<Integer> set : list) {
// 숫자. 나와.
for (int num : set) {
// 이제.. Set 특징을 하진 seen 친구에 들어간다면
if (seen.add(num)) {
// result 친구에게도 들어가시겠죵?
result.add(num);
}
}
}
// 결과를 int 배열로 전환해서... int로 넣어주깅
int[] answer = result.stream().mapToInt(i -> i).toArray();
return answer;
}
}
'알고리즘 > 프로그래머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<프로그래머스> 전화번호 목록 (1) | 2024.09.24 |
---|---|
<프로그래머스> 지형 이동 (2) | 2024.09.24 |
<프로그래머스> 가장 큰 수 (0) | 2024.09.23 |
<프로그래머스> K번째 수 (0) | 2024.09.23 |
<프로그래머스> 정수 내림차순으로 배치하기 (0) | 2024.09.23 |